1. 전통적 철학의 분류
교육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과거의 철학자들이 무엇을 말하려고 했고, 어떻게 해서 그러한 철학적 입장들이 개혁자들이나 교육 이론가들을 통해 교육 실제에 영향을 주었는지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커티스(S. J. Curtis)는 자신의 저서 '교육철학 서설'에서 학자들이 다양한 철학의 학파를 분류하는 방식을 요약하였는데, 실재론, 자연주의, 관념론, 프래그머티즘의 네 가지 분류가 일방적 방식이었습니다. 그 외 롯지(R. C. Loge)는 관념론, 실재론, 프래그머티즘 세 가지로 분류하였고, 혼(H. H. Horne)은 관념론과 프래그머티즘으로 분류하였습니다. 미국 교육협회의 제41 연보는 관념론, 실재론, 프래그머티즘, 비 가톨릭적 아리스토텔레스주의, 로마 가톨릭주의로, 브라멜드(T. Brameld)는 본질주의, 재건 주의, 진보주의, 항존주의로, 버틀로(J. D. Buter)는 관념론, 실재론, 자연주의, 프래그머티즘으로 구분했고, 넬러(G. F. Kneller)는 재건주의, 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분석철학, 실존주의, 프래그머티즘, 실재론, 관념론 등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이렇게 여러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여기서는 관념론, 실재론, 프래그머티즘을 중심으로 교육과의 관련성과 특징을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2. 관념론과 교육
1. 관념론의 입장
관념론은 형이상학적 입장에서는 유심론, 유심관 있어서는 이상주의로, 인상론에 있어서는 관념론으로 해석합니다. 17세기 라이프니찌(G. W. Leibniz)가 관념론자라는 말을 처음 사용하였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관념론에 대한 설명은 플라톤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플라톤의 관념론에서 이상, 형식은 대략 같은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피히테, 칸트, 헤겔, 로체와 같은 고전적 관념론자라고 불리는 18, 19세기 독일 관념 철학자에게 철학적 입장이 확장됐습니다. 또한 쇼펜하우어는 이러한 관념론적 철학의 범주를 절대적인 것, 자연, 인간, 지식, 도덕성, 윤리학, 역사 및 국가로 구분하였습니다. 다른 나라 철학자들 특히, 프랑스의 루소와 데카르트, 홀란드의 스피노자 역시 철학적 관념론에 공헌하였습니다.
이러한 역사에서 체계적인 교육이론을 전개한 사람은 플라톤이고 플라톤의 핵심이 되는 철학사상은 이데아(Idea)론, 즉 관념론입니다.
2. 플라톤의 이데아론
서양 철학사는 전체 플라톤 철학에 주석을 붙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플라톤의 철학은 곧 완전하고 영원불변한 이데아에 관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황소의 이데아는 모든 황소의 본질임과 동시에 완벽한 이상적인 황소의 모습을 나타냅니다. 이 세상의 모든 구체적인 사물들은 각각의 이데아에 대응되며 용기, 선, 미 등과 같은 추상적 개념에도 각각의 이데아가 대응됩니다. 이데아는 순수하고 객관적인 유개념이고 개념적 보편성의 원형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유의 사물에는 그러한 이데아, 예를 들어 집, 말, 책상, 나무 등의 이데아가 존재합니다. 개별적인 감각적 사물들에 대립하는 이데아는 어떤 감각적 성질도 소유하지 않으며, 비물질적, 비 공간적입니다.
우리가 듣고 보는 감각 세계는 지속해서 변하는 가상의 세계이고 편견과 착각을 일으키는 세계입니다. 반면, 이데아 세계는 참된 존재이고 영원불변한 세계이며 감각이 아닌 이성으로만 인식되는 세계입니다. 감각 세계가 이데아를 닮은 이유는 이 세계를 만든이가 세계를 만들었을 때 완벽한 이데아를 본보기로 삼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만지고 듣고 보는 세계는 우리에게 가장 실재적이고 현실적이며 진실한 세계라고 생각되지만, 그런 감각 세계는 플라톤에게는 가상에 불과하고 하나의 어두운 동굴과 같습니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플라톤 "국가론"의 '동굴의 비유'가 자주 사용됩니다.
플라톤의 다른 비유에 따르면 우리의 영혼은 태어나기 이전에는 모든 것을, 그리고 이데아를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영혼이 이 지상 세계로 오면서 레테라는 망각의 강을 지나오면서 모든 것을 잊게 됩니다. 또는 영혼이 천상에서 지상의 육체 속으로 떨어지면서 그 충격으로 모든 것을 잊게 된다는 비유도 있습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아름다운 꽃을 보고 어렴풋한 기억 속에서 미의 이데아를 다시 떠올리게 됩니다. 플라톤에서 인식이란 새로운 것에 대한 인식이 아니라 이전에 알았던 것을 다시 떠올리는 것이며 생산이 아닌 재생산입니다.
이데아의 세계는 높고 낮음이 있고 그 가운데 선의 이데아가 가장 높은 위치에 있습니다. 선의 이데아는 모든 이데아를 포함하며 능가하고 지배합니다. 선의 이데아는 신과 동일하며 모든 존재에게 완전함을 추구하도록 자극합니다.
3. 관념론의 교육이론
성장하는 세대가 참된 실재를 인식하고 최고선에 따라 실천적 삶을 영위하며,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 있도록 그들의 정신 능력을 계발시키는 일을 관념론에서 말하는 교육입니다. 관념론에 근거한 교육은 정신적 작용으로서 인간성 안에 들어있는 가장 좋은 것, 그 사회가 가지고 있는 가장 소중한 것, 그리고 인간이 추구해야 할 가장 아름다운 것을 교육에 적극적으로 반영시켜야 합니다. 관념론의 교육이론을 몇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교육은 정신적 작용으로 자연적 생활의 필요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정신적 필요에 의해 존재하는 인간사회 기능입니다. 그래서 교과목은 유형에 상관없이 자아를 확장하고, 궁극적인 정신적 완전성에 자아를 접근시키는 것 이어야 합니다.
둘째, 아동은 윤리적 존재로 다루어져야 합니다. 관념론은 사람이 신의 형상에 의하여 창조되었고 그에게는 신격에 도달할 수 있는 잠재 능력이 있다고 믿습니다. 그러므로 교사는 수업을 통해 아동에게 숨어 있는 고유한 잠재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셋째, 아동의 전체성과 개성은 조화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관념론자들은 개성을 강조하지만 보편성도 강조합니다. 교육은 정신적 자아를 실현하고 동시에 개성이 정신적인 유대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통합되도록 해야 합니다.
넷째, 교육 방법은 학습자의 정신을 각성시키는 것입니다. 교육의 역할은 학습자의 정신에 이미 잠재되어 있는 이데아를 다시 기억하게 하는 것으로, 학습자가 자신이 지닌 이데아를 의식화할 수 있도록 교사는 학생들과 의사소통을 통해 그들의 정신을 각성시켜야 합니다.
그러나 관념론은 무척 추상적이어서 실제 인간 생활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할 수 없고, 급격히 발전하는 사람의 지성과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습니다. 그리고 특히 교육 분야에서 정신적 가치를 너무나 강조한 나머지 물질적, 직업적 교육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약점이 있습니다.